로그인 | 회원가입 |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FXM이란
FXM기초
FXM실제
수익구조 거래통화표시 스프레드(Spread) 핍(Pip), 펫(Pet)
랏(Lot) 레버리지와 증거금 롤오버(Roll Over) 마진콜(Margin Call)
 
거래 통화의 표시
거래 통화는 반드시 쌍으로 표현이 됩니다. 하나의 통화를 산다는 것은 다른 통화를 판다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의 통화를 판다는 것은 그 상대 통화를 산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EUR/USD = 1.3240
먼저 표현된 화폐, 즉 이 경우에는 유로를 기준통화(Base Currency) 라고 하며, 다음에 표현된 화폐, 즉 이 경우는 달러를 상대 통화(Counter 혹은 Quote Currency) 라고 합니다.

기준통화는 문자 그대로 사고 팔 때의 기준이 되는 통화입니다.

EUR/USD를 매수한다고 할 때
기준통화를 사고 상대통화를 판다는 것입니다. 즉 유로를 사고 달러를 팝니다.

EUR/USD를 매도 한다고 할 때
기준통화를 팔고 상대 통화를 산다는 이야기입니다. 즉 유로를 팔고 달러를 삽니다.

다음 두 가지를 기억하면 이해에 도움이 됩니다.

1. 첫번째 표시되는 화폐가 기준통화이다.
2. 기준통화의 값은 언제나 1 이다.


즉, 위의 예의 경우 1 유로로 1.3240 달러를 살 수 있습니다.

다음의 경우에 USD 가 기준통화가 됩니다.
USD/JPY, USD/CHF, USD/CAD

USD/JPY 의 경우,
USD/JPY 110.01 은 1 달러가 110.01 엔의 가치가 있다는 것입니다.
달러가 강해지게 되면 숫자가 증가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달러가 강해져서 환율이 113.01 이라고 가정하면, 이제는 1 달러가 113.01 엔의 가치가 있다는 것 입니다.

기준통화가 달러가 아닌 경우는 다음의 3가지가 있습니다.
GBP/USD, EUR/USD, AUD/USD

이 경우에 GBP/USD 1.7366 이라고 표현되어 있을 경우 1 파운드가 1.7366 달러의 가치가 있다는 것입니다.
이 3가지의 경우, 즉 USD 가 기준통화가 아니고 상대 통화일 경우 환율이 상승하면 USD 가 약해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환율이 상승하게 되면 전보다 더 많은 USD 를 살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시 말해, 환율이 상승하면 기준통화의 가치가 올라가게 되고, 환율이 내려가면 기준통화의 가치가 내려가게 됩니다.

USD 를 포함하지 않고 있는 것을 교차통화(Cross Currency) 라고 합니다.

EUR/JPY 127.95
이는 1 유로가 127.95 엔의 가치가 있다는 것을 말합니다.